About The Search in Posts

“ 2010.05.17 movieweek: 인터뷰 ”

‘그녀에게’ 김성호 감독, “가장 자유롭게 찍은 영화다”


-영화를 본 첫 느낌은 ‘아름답다’였다. 사운드 없이 봐도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느낄 만큼 영상에 정말 신경을 많이 썼구나 싶었다.

그렇게 봐줘서 고맙다.(웃음) 워낙 저예산 영화라 촬영감독과 저예산이라는 걸 너무 티 내지 않는 선에서 찍자고 얘기했다. 예산이 부족해서 밤 촬영을 못하니 해질 무렵이나 새벽 시간을 이용했다. 그래서 영화 톤이 전체적으로 예뻐진 게 아닐까.

-몽환적인 톤이 실제와 허구를 오가는 영화의 내용과도 잘 어울리는 것 같다.

그렇다. 로케이션의 힘도 컸던 것 같다. 부산은 다른 영화에서 많이 노출된 장소이기 때문에 일단 익숙한 장소들은 다 뺐다. 남들이 가보지 않은 장소를 골랐는데 꽤 괜찮은 곳이 많더라.

-영화의 배경으로 부산을 직접 선택한 건가?

그건 아니다. 제작사에 가보니까 다른 감독님들이 다 고르고 부산만 남아 있더라.(웃음) 그런데 사실 난 서울, 제주, 인천에서 영화를 찍어본 적이 있거든. 어렸을 때 부산에서 살았던 적도 있고.

-영화 속 부산이 굉장히 낯설어서 감독이 ‘부산의 이방인’이라고 생각했다. 판잣집 풍경은 지중해의 느낌까지 들던데.

처음에는 어릴 적 기억을 쫓아가보려고 했는데 막상 부산에 가보니 너무도 많이 변했더라. 나도 판잣집이 좋았다. 거기가 감천2동인데 아주 예전에 사진으로 본 적이 있다. 언젠가 꼭 영화에 담아보고 싶었다. 또 마지막 판타지 신에 등장한 곳은 외양포라는 곳인데 일제 때 지은 군사시설이라더라. 마치 동남아시아의 어느 섬에 온 것처럼 너무 느낌이 좋았다.

-2주 동안 즉흥적인 시나리오로 작업했다고 들었다.

시나리오를 수정해야 하는 영화감독과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는 여자, 딸을 찾으러 온 아버지. 이 정도의 모티프만으로 출발했다. 네 페이지짜리 시놉시스를 들고 배우들을 만나서 예산도 얼마 없고 촬영 기간도 2주밖에 안 되는데 무작정 찍어보고 싶다고 얘기했다. 작년에 <황금시대>(2009)의 ‘페니 러버’를 찍을 때 시나리오대로 찍지 말자고 다짐했다. 시나리오대로 하면 매너리즘에 빠져서 생동감이 많이 떨어지는 것 같더라. 그 작업이 내게는 굉장히 만족스러운 시도였다. 장편도 이렇게 도전해 보면 어떨까 욕심이 생기던 참에 이번 프로젝트가 들어온 거다. 시나리오를 쓸 수 있는 물리적인 시간도 없었기 때문에 절호의 찬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왜 주인공을 감독으로 설정한 건가?

부산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라는데 준비 시간이 너무 짧더라. 가장 쉬운 방법은 아무래도 내 경험을 가져다 쓰는 거니까 그렇게 된 것 같다. 사실 감독이 배우를 찾으러 왔다가 누군가를 만나는 이야기는 예전부터 갖고 있던 모티프이기도 했고.

-이 영화는 실제와 허구를 오가는 판타지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관객을 위한 최소한의 룰은 있더라. 그런데 즉흥적으로 찍었다니 상상이 잘 되지 않는다.

프리프로덕션 기간이 짧았던 대신 후반작업이 굉장히 길어졌다. 촬영을 진행시키는 동시에 캐릭터와 대사를 만들어나가다 보니 나중에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이 굉장히 많았다. 찍어놓은 소스와 원래 갖고 있었던 생각을 토대로 영화를 편집으로 만들어낸 거지. 모자란 부분이나 설명이 더 필요한 부분들은 추가 촬영도 했고.

-그럼 여러 가지 버전이 나왔겠다.

그렇다. 작년 말에 완성한 영화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로드무비 버전이었다.

-따라가기 어렵긴 했지만 다행히 불친절한 영화는 아니었다.(웃음)

초반에 아주 기본적인 모티프만 정해놓고 계속 활용을 하는 식이었는데, 촬영 중간에 배우들과 촬영감독, 미술감독한테서 아이디어가 많이 나왔다. 진정한 의미의 공동 작업이 된 거다.

-이런 방식의 작업은 처음인가?

이렇게 본격적으로 시도한 건 처음이다. 작년에 배우가 아닌 조원선과 작업을 했던 게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이번에도 배우가 아닌 뮤지션 이우성을 캐스팅한 거다. 이런 작업에는 장단점이 분명히 있는데 장점은 조금 더 활용했고 단점은 좀 더 공부한 것 같다.

-데뷔작 <거울 속으로>(2003)에서 보여준 방식과는 점차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같다.

사실 <거울 속으로>의 영향이 크다. 그땐 정말 미친 듯이 준비했다. 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와서 한국의 제작 방식이 체계적이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땐 프리프로덕션이 영화의 100퍼센트가 아닐까란 생각도 했으니까. 하지만 나중에 완성된 영화를 보면서 느낀 건 영화에서 생동감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이후 서너 편의 단편을 작업하면서 조금씩 바꿔보려고 했던 거다. <눈부신 하루>(2005)의 ‘보물섬’ 때도 준비를 많이 했었는데 그냥 한 번 시도해 본 신들이 나중에 너무 마음에 들었다. 즉흥성이 영화의 훌륭한 요소일 수도 있겠구나 싶어서 차츰 그 부분들을 확장시켜 나갔다. 그러다가 ‘페니 러버’에서 좀 더 오픈했고 <그녀에게>는 완전히 오픈한 건데 사실 두려움도 컸다. 촬영한 지 1주일 됐을 때 ‘아~ 이 영화 완전히 망했구나’란 생각이 들어서 눈앞이 정말 캄캄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 보니 굉장히 좋은 시도였고 유익한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근래에 저예산 프로젝트와 유독 인연이 깊었는데, 상업 영화 계획은 없나?

지금 시나리오를 하나 쓰고 있다. 음악 영화인데 코미디가 될 것 같다.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의 드라마가 될 거다.

-데뷔작이 꽤 호평을 받았는데 호러 영화는 다시 안 할 건가?

사실 2년 전에 영화진흥위원회에서 4억 원 정도 지원금을 받은 좀비 영화가 있다. 한국적인 가족 좀비 영화다. 올해 안에 찍어야 하는 건데 아쉽게도 제작사 사정상 진행을 못하고 있다.


2010-05-17   김현민 기자

About this entry


“ [오동진의 뷰파인더] 전주에서 희망을, 칸에서 기대를! ”

[오동진의 뷰파인더] 전주에서 희망을, 칸에서 기대를!


김성호 감독과 막걸리 잔을 부딪쳤다. 오늘 기분이 좋다고 얘기했고 김 감독도 역시 기분이 좋다고 했다. 연일 며칠째 술을 마셨지만 오늘도 취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취하고 싶었다.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김성호 감독의 <그녀에게> 상영을 마친 뒤였고, 관객들의 반응이 너무 좋았으며, 이래서 영화를 만들면 다들 영화제에 오고 싶어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래서 가능하면 다른 영화제에도 이 작품을 내보내야겠다고 결심했다. 새삼 전주국제영화제에게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그녀에게>는 삼중액자 구조를 지닌, 다분히 초현실주의적 느낌이 나는 작품이다. 전주국제영화제 데일리에 어떤 관객평론가가 이 영화를 보고 <유주얼 서스펙트>가 생각났다고 썼지만 그건 좀 적절치 못한 비유였다. 그보다는 데이비드 린치 영화에 가깝다. 잔혹하거나 그로테스크한 느낌을 뺀 린치의 영화. <그녀에게>의 줄거리를 여기서 중언부언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 영화는 결국 영화를 만드는 감독 자신의 이야기며, 감독의 머릿속 회로에는 굉장히 복잡한 미학이 떠다닌다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무엇보다 영화란 이미지의 예술이라는 것을 보여준 작품이다. 없는 돈에, 진실로 강퍅한 제작비로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 준 김성호 감독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 돈이 너무 없다는 게 한편으로는 감독에게 부담을 덜어준 것도 사실이다. 감독은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여야 하며, 돈이 많으면 그런 존재가 되기 어렵다. 불안이 영혼을 잠식하는 것이 아니라 돈이 영혼을 갉아먹기 때문이다.

정말 오랜만에 기분이 좋다. 영화계 분위기도 좋다. 바야흐로 5월이고 극장가가 터지기 시작하는 때인데, 이럴 때 이창동의 <시>와 임상수의 <하녀>가 칸국제영화제에서 큰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더더욱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두 영화, 특히 이창동의 <시>는 이창동 최고의 작품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고, 아마도 황금종려상을 탈 수 있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신중하게 제시되고 있다.

한국일보 영화기자 라제기는 <시> 얘기를 할 때마다 눈시울이 붉어지는데, 그게 설령 막걸리를 마신 탓이라고 해도 그가 하는 말 가운데 이것 하나만은 귀에 깊숙이 박혔다. 라제기는 <시>가 황금종려상을 타면 세계 영화계의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요즘 <시>에 대해 맹목적일 만큼 지지하고 다닌다. 하기야 그건 조선일보의 한현우도 마찬가진데, 그 역시 <시>의 여주인공 윤정희 씨에 대해 칸이 이 여배우를 지금에서야 발견한 것을 뼈저리게 후회하게 될 것이다, 라고 썼던가.

두 사람의 호평이야 어찌 됐든 <시>가 크게 주목받게 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 <시>와 <하녀>가 5월과 6월, 치열한 승부수가 벌어지는 극장가에서 한국 영화의 새로운 생존법을 보여주게 된다면, 그건 분명 희망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영화는 기이하게도 중간중간 예술적 상업 영화가 크게 한 방을 터뜨리며 국내 영화계의 미학적 심지를 가다듬게 만든다. 사람들로 하여금 돈, 돈, 돈 하게만 만들지 않는다.

때 묻은 영혼을 시원하게 씻어낼 수 있게 하는 영화를 찾게 만든다. <시>와 <하녀>가 주목받고, 7월에 강우석 감독의 <이끼>까지 성공한다면 영화계의 올 한 해 ‘장사’는 어느 정도 끝낼 수 있게 될 것이다. 어깨가 무겁겠지만, 이들 감독의 영화들이 그런 역할을 꼭 해야만 하는 건 그 때문이다. 올해 칸국제영화제는 그 어느 때보다도 북적댈 것이다. 날씨도 덥지만 영화에 대한 열기 때문에 더 그럴 것이다.

그 열기를 한국 영화가 듬뿍 받았으면 좋겠다. 그럴 때도 됐다. 지난 몇 년간 다들 고생해 왔으니까. 이제는 다시 영화계가 활발하게 작동할 때가 됐다. 전주에서 칸으로 이어지는 환상과 기대에 대한 단상 끝.


무비위크 2010년 5월 11일

About this entry


“ 2010.05.10 movieweek: 프리뷰 ”

‘그녀에게’ 감각적인 영상과 몽환적인 음악이 돋보이다



★★★ 감각적 영상이 빚어내는 관계.

STAFF 감독, 각본ㆍ김성호 | 촬영 김형주 | 편집ㆍ이재웅
CAST 인수ㆍ이우성 | 동연ㆍ조성하 | 혜련ㆍ한주영
DETAIL 러닝타임ㆍ82분 | 관람등급ㆍ15세 관람가 | 카페 cafe.naver.com/spongehouse


PREVIEW

한 남자가 경찰관에게 여자의 실종을 신고하려는 데서 영화는 출발한다. 그런데 이 남자 인수는 여자의 이름도 나이도 모를뿐더러, 심지어 어디서 만났는지도 기억하지 못한다. 경찰관이 여자에 대해 이것저것 묻는 사이 인수가 그 여자 혜련을 우연히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하지만 이내 관객은 혼란에 빠진다.

인수가 만나는 혜련은 진짜 인물인가. 시력을 잃어가는 병을 얻어 마지막으로 딸 혜련을 찾으려는 동연이란 인물은 과연 현실의 인물인가 아니면 영화감독인 인수가 쓰고 있는 시나리오 속 인물인가. <그녀에게>는 현실과 환상을 교차시켜 ‘그녀’ 혜련에 대한 기억에 세 주인공 모두가 연결돼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세 주인공이 현실 속 인물이든 아니든 간에 그들은 모두 ‘관계’에 실패한 인물들이다. 영화는 관계를 지우려거나 복원하려는 혹은 회피하려는 인물들을 감각적인 영상과 몽환적인 음악을 통해 보여준다. 특히 ‘나무들의 시체’가 등장하는 신의 화면은 단연 시선을 사로잡는다. <그녀에게>는 ‘영화, 한국을 만나다’ 프로젝트 중 부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거울 속으로>(2003) <판타스틱 자살소동>(2007) 등에서 자신만의 색을 보여준 김성호 감독이 이번에도 여지없이 자신의 장기를 드러냈다.

2010-05-11   정수진 객원기자

About this entry




Tag Cloud

Categories

전체 (124)
newest news (54)
video diary (34)
photo diary (5)
works archive (21)
contact me (1)
about me (1)
text diary (8)

Menu

  • Total : 596478
    Today : 35
    Yesterday : 154

Calendar

«   2010/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istory